비상응급의료 설 연휴에 고위험 산모 보호한다!

Last Updated :

응급의료체계 유지 대책

오는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 설정된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에 따라,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다양한 대책이 시행됩니다. 이번 기간 동안, 응급실과 배후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권역 및 거점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250% 가산하며, 응급의료행위의 가산 또한 인상하여 기존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중증 및 응급환자 진료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23개소의 거점지역센터를 운영하며, 비상진료 기여도 평가 및 인센티브 지급을 통해 의료 진료의 질을 높이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것입니다. 특히, 181개소 권역·지역센터의 중증·응급 수술의 야간 및 휴일 수가를 기존 200%에서 300%로 인상하여 중증환자 배후진료 역량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응급실 과밀화 최소화 방안

응급실의 과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마련됩니다. 발열클리닉 115개소와 197개 호흡기질환 협력병원을 운영하여, 호흡기 질환 외의 환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협력병원에는 코로나19 확진 환자 입원 시 20만 원의 배정지원금을 지급하여 환자의 수용을 촉진할 계획입니다. 시·도별 발열클리닉과 응급의료기관 간의 사전 매칭을 통해 중증환자의 신속한 전원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119와 보건소를 통해 병원 안내 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응급실 기반 인플루엔자 환자에 대한 일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통계에 기반한 수요 분석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응급의료체계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 발열 클리닉 115개소 운영
  • 호흡기 질환 협력병원 197개소 지원
  • 코로나19 환자 입원 시 지원금 지급

질환별 대응 체계 강화

설 명절 기간은 여러 고위험 질환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합니다. 신생아와 산모를 위한 전담팀을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 구성하여, 신속한 이송과 전원 지원을 실시합니다. 또한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대응을 위한 '핫라인'을 구축하고, 다태아 수용을 위한 신생아 중환자실의 예비병상을 확보하여 인프라의 확충을 도모합니다. 야간 및 휴일에 소아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달빛어린이병원과 아동병원을 최대한 운영하도록 지자체와 병원 협회와 협조할 것입니다. 중증 심뇌혈관 환자를 위한 신규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하여, 24시간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이번 대책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응급의료 당직 진료 및 점검 강화

응급의료의 당직 진료 및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설 연휴 기간 동안 운영되는 병원과 약국에 공휴일 가산을 20% 추가로 지원합니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에서 별도의 예산을 지원하여 최대한 많은 병원과 약국이 운영될 수 있도록 촉진할 계획입니다. 전국 413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전담관을 지정하여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중앙 및 지역 응급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여 재난 상황을 수시로 점검합니다. 지방 의료원의 진료체계와 민간인 이용이 가능한 군병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민들이 응급의료를 필요로 할 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입니다.

호흡기 질환 대응 방안

고위험산모 및 신생아 대응 방안 다태아 수용을 위한 중환자실 확보 야간 소아 진료 확대
산과·신생아 전담팀 운영 병상 종합상황판 구축 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신규 지정

호흡기 질환 증가에 따라 예방접종 참여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증상이 경미한 환자에게는 가까운 동네 의원이나 발열클리닉을 이용할 것을 당부합니다. 손 씻기 및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도록 하여, 감염 확산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가 최근 증가함에 따라, 각 지역 방역 대책 및 개인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의료 공백 최소화 방안

설 연휴 동안 응급의료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별 응급의료기관의 밀접한 협조가 필요합니다. 특히 응급의료포털과 129 및 120콜센터를 통해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 정보를 제공하며, 호흡기 환자는 발열클리닉과 협력병원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홍보할 것입니다. 이는 응급의료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번 연휴에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정부의 응급의료 체계 보강

조규홍 제1차장은 "정부는 각 지자체와 의료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설 연휴 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들이 응급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때 보다 안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료 인프라를 보강할 예정입니다. 예방접종과 발열클리닉의 우선 이용을 통하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관리와 점검을 통해 응급의료체계의 안정성을 확보할 것을 약속합니다.

응급의료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응급의료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 현장에서의 원활한 정보 전달과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지방 자치단체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응급의료진의 피로도를 낮추기 위해 [보건복지부](https://www.korea.kr)와 같은 관련 기관이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응급의료 역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정부의 중요한 책임입니다.

2025년의 응급의료 서비스

2025년에는 응급의료 서비스의 질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서 언급된 다양한 방안들은 응급환자의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환자 수요 분석을 통해 더욱 세부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것입니다. 향후 2025년까지의 변화는 반드시 의료계와 국민이 함꼐 만들어 나가야 할 부분입니다. 따라서 모든 이가 협력하여 보다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 걸림돌 해소 방안

응급의료 서비스의 걸림돌 해소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응급실의 과밀화 해소는 시급한 과제로, 다양한 대책이 시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피로도를 낮추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게 될 것입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의료계의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그에 맞춘 대책을 발굴하여 적시에 대응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요?

답변1. 설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은 오는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 지정됩니다.

질문 2.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답변 2. 주요 내용으로는 권역·거점센터의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 응급의료행위 가산 인상, 중증·응급환자 진료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센터 운영 등이 포함됩니다.

질문 3. 응급실 과밀화 최소화를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요?

답변3. 발열클리닉 115개 운영과 호흡기질환 협력병원 197개소 활용을 통해 응급실이 호흡기질환 외 환자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여력을 확보하고, 코로나19 확진 환자에 대한 배정지원금 지급 등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비상응급의료 설 연휴에 고위험 산모 보호한다!
비상응급의료 설 연휴에 고위험 산모 보호한다! | 무료 다운로드 : https://freedownload.co.kr/11494
2025-01-17 1 2025-01-18 1 2025-01-20 1 2025-01-22 1 2025-01-28 1 2025-02-01 2 2025-02-02 2 2025-02-03 2 2025-02-05 2 2025-02-06 1
인기글
무료 다운로드 © freedownload.co.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